부동산 취득세율 세율표를 확인하지 않고 거래를 진행하면 수천만 원의 세금 폭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.
부동산 종류별, 거래 유형별 취득세율은 달라지므로 반드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.
부동산 취득세율 기본 개념
부동산 취득세율은 주택, 토지, 상가, 건물, 농지 등 부동산을 취득할 때 내야 하는 지방세율입니다. 취득일 기준 60일 이내에 신고·납부해야 하며, 미납 시 가산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취득세 납부 기한
- 매매: 취득일로부터 60일 이내
- 상속: 상속개시일부터 6개월 이내
- 증여: 증여일 기준 3개월 이내
주택의 부동산 취득세율 세율표
구분 | 기본 세율 | 지방교육세 | 농어촌특별세 | 총 세율 |
---|---|---|---|---|
1가구 1주택 (6억 이하) | 1.0% | 0.1% | - | 1.1% |
1가구 1주택 (6~9억) | 구간 누진 | 0.2% | - | 최대 2.2% |
1가구 1주택 (9억 초과) | 3.5% | 0.35% | - | 3.85% |
조정지역 2주택 | 8% | 0.8% | 0.2% | 9.0% |
조정지역 3주택 이상 | 12% | 1.2% | 0.2% | 13.4% |
보유 주택 수와 조정지역 여부에 따라 취득세율이 급변하므로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.
토지, 상가, 건물의 세율 구조
부동산 중 토지와 상가 건물은 단일 세율이 적용됩니다.
- 기본 취득세율: 4.0%
- 지방교육세: 0.4%
- 농어촌특별세: 0.2%
- 총 세율: 4.6%
오피스텔은 주거용 또는 업무용 여부에 따라 부동산 취득세율이 달라집니다. 계약 전 용도를 정확히 확인하세요.
농지 취득 시 적용되는 세율
농지 유형 | 기본 세율 | 교육세 | 농특세 | 총 세율 |
---|---|---|---|---|
일반 농지 | 3.0% | 0.2% | 0.2% | 3.4% |
2년 이상 자경 | 1.5% | 0.1% | - | 1.6% |
농업경영자 요건을 충족하면 더 낮은 세율 적용도 가능합니다.
상속 및 증여 시 부동산 취득세율 세율표
유형 | 취득세율 | 비고 |
---|---|---|
상속 | 2.8% | 증여세와 별도 과세 |
무주택자 상속 특례 | 0.8% | 1가구 1주택 한정 |
증여 | 3.5% | 중복과세 주의 |
증여세는 별도로 납부해야 하므로 이중과세 구조에 대한 절세 전략 수립이 필요합니다.
부동산 취득세율 계산기 사용법
부동산계산기 사이트를 활용하면 다음 항목만 입력해도 취득세율이 자동 계산됩니다.
계산 순서
- 취득 유형 선택: 매매 / 상속 / 증여
- 부동산 종류 선택: 주택, 토지, 건물
- 면적 입력: 85㎡ 초과 여부
- 취득가 입력: 실거래가 기준
- 계산 버튼 클릭 → 합산 세금 확인
정확한 세율 파악을 위해 반드시 부동산 취득세율 세율표와 계산기를 함께 참고하세요.
실전 사례로 보는 세율 차이
사례 1. 무주택자의 10억 아파트 구입
기본 취득세율 3.5%, 지방교육세 0.35% → 총합 3.85% → 세금 약 3,850만 원
사례 2. 비수도권 2억 이하 주택 취득
특례세율 1% 적용 → 세금 약 200만 원
같은 부동산이라도 취득 방식과 조건에 따라 수천만 원 세금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마치며
- 부동산 거래 전 취득세율과 세율표 반드시 확인
- 조정지역, 주택 수, 면적, 용도별 요건 검토
- 부동산 취득세율 세율표는 거래 판단의 핵심 자료
- 위택스 또는 부동산계산기.com을 통해 예상 세액 미리 파악
부동산을 매입할 때 표와 계산기를 함께 참고하면 예기치 못한 세금 부담을 막을 수 있습니다.